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4/0005302308?sid=10
'딥시크' 수혜주 웃었다… 中기술주·인터넷 투자 ETF 약진 [ETF 스퀘어]
국내 상장지수펀드(ETF) 시장은 중국의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의 여파에 뚜렷한 온도차를 보였다. 인터넷과 중국 기술주에 투자하는 ETF의 상승률은 약진한 반면 반도체는 후진했다. 2일
n.news.naver.com
딥시크에게 딥시크에 대해 묻다.
Q. 딥시크, 너에 대해 알려줘. 표면적인 정보뿐만 아니라 구체적인 정보도 포함해서 알려줘.
'딥시크 쇼크' 단어 등장? 왜 난리가 났을까?
딥시크는 중국의 인공지능 스타트업이다. 이 스타트업이 AI업계를 현재 뒤흔들고 있다.
기존의 AI시장은 막대한 투자를 기본으로 몇몇의 회사가 독식해 왔다. 지난해 엄청난 성장을 해온 엔비디아가 그 예시이다.
하지만 딥시크는 이런 기업들의 개발 비용 1/10에 불과한 돈을 사용하면서 그들과 비슷한 수준을 만들어냈기에 '과연 AI개발에는 압도적인 컴퓨팅 자원이 필요한가'라는 의문을 사람들에게 남겼다.
딥시크 충격으로 인해 엔비디아 등 기존 AI 대장주의 주가가 한동안 떨어졌었다. 이와 반대로 딥시크와 관련된 ETF는 상승세를 보였다.
ETF 개념
인덱스펀드를 거래소에 상장시켜 투자자들이 주식처럼 편리하게 거래할 수 있도록 만든 상품
네이버 지식 백과에 있는 정의인데 이해가 어렵다... 그래서 더 쉽게 정리를 해보았다.
주식시장에 상장된(주식시장에서 팔리는) 펀드(금융기관에서 여러 사람들의 돈을 모아 기업에 투자하는 방식. 펀드 매니저라는 전문가가 연구 후 투자를 하기 때문에 개인이 하는 주식보다 좀 더 안정적이라고 볼 수 있다.)이다.
하나의 ETF를 통해 자동적인 분산투자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리스크가 적고, 주식처럼 쉽게 구매하고 판매할 수 있기 때문에 편리하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ETF 순자산 총액은 해가 갈수록 늘어가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딥시크에 대한 나의 생각
중국은 항상 저렴한 비용으로 깜짝 놀랄만한 일을 많이 만들어내는 것 같다. 이런 점이 중국의 기술을 우리가 무시할 수 없게 만든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중국은 사회주의 국가이다. 개발의 자유가 제한이 된다. 딥시크 또한 이런 논란에 휩싸였다는 소식을 들었다. (시진핑은 누구인가? 등 공산당 권력에 대한 질문을 하면 '대답을 할 수 없다' 등의 검열된 답변을 내놓는다.) 중국 AI가 미국을 따라잡으려면 먼저 이런 개발에서의 자유가, 표현에서의 자유가 보장되어야 하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한다.
<재미있게 읽으셨나요? 다른 편을 통해 더 지식을 가져봅시다!>
2025.02.04 - [매일 경제뉴스 읽기] - [매경읽] 트럼프 2기 관세 전쟁과 우리나라 경제의 연관성 알기
[매경읽] 트럼프 2기 관세 전쟁과 우리나라 경제의 연관성 알기
https://n.news.naver.com/mnews/hotissue/article/001/0015189081?type=series&cid=2001859 [마켓톺] 트럼프발 관세전쟁 '찬물'…코스피 반등 '한달천하'로 끝나나코스피 2.5% 급락, 1개월치 상승분 대부분 반납…외인·기
heejin12350.tistory.com
'매일 경제뉴스 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경읽] "환율 1,400원 돌파?" 환율 뉴스로 '긴축정책', '환율' 개념 한 번에 이해하기 (4) | 2025.03.19 |
---|---|
[매경읽] 홈플러스 위기 뉴스로 ABSTB,ABS,ABCP,CP,SPC 개념 5분 만에 이해하기 (4) | 2025.03.17 |
[매경읽] '머스크 리스크?' 테슬라로 '물타기' 이해하기 (1) | 2025.03.09 |
[매경읽] 트럼프 2기 관세 전쟁과 우리나라 경제의 연관성 알기 (0) | 2025.02.04 |
[매경읽] 디지털 뱅크런이 우리에게 끼치는 위험 (0) | 2025.02.01 |